가 채점 결과는 84점 나왔습니다.물론 합격자 발표가 나와야 확실해지겠지만..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하여 후기를 남깁니다. 실기 준비 기간 : 4,5,6 개월 ( 월~목 1시간 / 토 4시간 / 일 4시간 ) 직장을 다니다 보니..생각보다 힘들더군요 아예 미리미리 준비를 시작 했습니다. 생각보다 만만한 시험은 아닌 것 같습니다..저번 시험엔 70점을 목표로 공부를 했다가 54점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번엔 100점을 목표로 공부했는데 84점 나왔습니다 기출문제(★★★★★) -모든 강의를 듣고 공부를 한 뒤 시험 날짜 1주일 전 실시 -2008년 ~ 2019년 1회 까지 모두 풀었습니다 ( 2회 ) -틀린 문제는 바로바로 체크해서 오답 노트 만들어서 전부 외웠습니다 -적어도 기출 문제랑 똑같이 나오거나 약간 변형된다면 절대 틀리지 않겠다는 마음으로 공부했습니다 순서도(★★★★)
기초 강의 수강 -기초 강의에서 나오는 순서도 정도는 그냥 그릴 줄 알아야 된다고 해서 문제만 보고도 그릴 수 있도록 공부했습니다. 생각보다 이 과정이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사 알고리즘 강의 -하루에 강의를 하나만 들었습니다. 강의 끝나고 문제만 봐도 순서도를 그릴 수 있을 정도로 연습했습니다. -모든 순서도를 문제만 따로 출력해서 처음부터 끝까지 다 그릴 수 있도록 공부했습니다. ( 제가 만들었던 순서도 문제만 있는 파일 드릴게요... 필요 하신 분은 사용하시길..) -전부다 그릴 수 있게 되니까 오히려 어렵게 나왔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던 것 같아요.. C언어, JAVA (★★★) -기본이 되는 핵심 이론을 먼저 다 외웠습니다. 서술형이 나오길 바라면서.. ( 추상화, 캡슐화 등등 ) -순서도 기초 강의에 나오는 문제를...C언어 와 JAVA 로 바꾸는 연습을 했습니다 DB (★★★★) - 완강 이후 핵심이 되는 내용을 정리해보니 A4용지 앞뒤로 2장 정도 나오더군요..외웠습니다 - 강의 자료실에 SQL 문제 전부다 풀었습니다 ( 몇번 풀다보면 그냥 자연스럽게 정답이 입력 됩니다 ) - DB는 일종의 흐름이 있다고 생각 되는데 하나의 DB동화책 이라고 생각하면서 흐름에 맞게 공부하면 더 쉽게 잘 외워지더군요.. ( 트랜잭션 -> 병행제어 -> 로킹 이런 것처럼 ) -제가 정리한 게 있긴 한데.. 참고만 하세요... 문서에 있는 내용이 다는 아닙니다 이후에 한 장 더 있는데 그건 다 수기로 적어서 파일엔 없네요.. 업무프로세스 / 신기술 / 전산영어 (★★★) - 무작정 퀴즐랫 부터 시작했습니다 / 시험 전 까지 과목 당 40~50번은 한 것 같아요.. - 단답 / 영문 / 한글 전부다 쓸 수 있도록 연습했습니다 - 서울은 핵심 이 되는 단어 위주로 한 문장 정도로만 쓸 수 있도록 연습했습니다 - 자료실에 있는 용어집에 정답을 입력하면서 마지막 확인을 했습니다 - 정보통신기술협회에 올라온 최신 ICT상식 문서를 시험 전날 두 번 정도 읽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어느 정도의 시간 투자는 반드시 해야 하고, 강의는 무조건 다 들으셔야 합니다 강의에서 해야 된다고 하는 건 반드시 하세요... 강의 이후 자신만의 스타일에 맞춰 이론을 정리 후 기출 문제로 마무리 합니다. 본인이 반드시 이번엔 꼭 붙어야 한다고 하시면 반드시 시간 투자를 해서 전부 다는 아니더라도 100점을 목표로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애매하게 하면...붙을 수도 있겠지만 실력이 아닌 운이 어느 정도 따라야 하니까... 저처럼 떨어지고 나면 다시 또 같은 공부를 반복 한다는 게 더 짜증 납니다.. 내년부터는 시험 방식이 바뀐 다고 하니 올해 마지막 3차 시험을 보시는 분들의 합격을 소망 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