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3회 기사를 시작해서 2번 시험만에 합격을 했네요. 저 또한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기사퍼스트에서 기사 공부하시는 비전공자분들을 위해 나름의 공부방법도 후기를 남깁니다. 필기는 강의 열심히 듣고 책 공부 열심히하고 문제를 많이 풀고 가니 한 번에 합격했습니다. 필기는 객관식이기 때문에 공부한 것이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 않더라도 감으로 맞출 수 있었던 것들이 많았습니다. 강사님 강의 꼭 다들으시고 문제 많이 푸시다 보면 한 번에 합격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실기는 주관식이라 필기랑 조금 다릅니다.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답을 아예 적지 못하기 때문에 한 번 공부하실 때 끝장을 낸다는 마인드로 꼼꼼하게 다 보시는게 좋습니다. 1. 알고리즘/순서도 이 분야는 무조건 다 맞춘다는 마인드로 순서도 강의 하나하나 꼼꼼하게 들으시는게 좋습니다. 2회의 실기시험 경험으로 보았을 때 문제은행식이기 때문에 강의만 열심히 듣는다면 다 맞출 수 있습니다. 2018년 3회에 그레이코드가 나왔을 때 솔직히 설마 나오겠어?하고 강의를 대충 들었던 부분이라 걱정했는데 곰곰히 생각하니 5개 중 4개는 적어서 맞출 수 있었습니다. 강사님 말씀대로 시험시간이 많기 때문에 오래 고민하다보면 답이 나오니 포기하지 마시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2019년 1회 문제는 너무 쉬운게 나와서 수월했습니다. 문제은행식이지만 10~12점 배점을 가지고 있는 알고리즘/순서도 꼭 다 맞추신다는 마인드로 공부하세요! 2. C언어/자바 C언어와 자바는 알고리즘/순서도와 유사하지만 조금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알고리즘/순서도 이해와 더불어 약간의 눈치가 필요합니다. 문제를 잘 해석할 수 있으면 쉽게 풀 수 있지만 해석하지 못하면 풀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래도 제 경험에 빗대어보았을 때 순서도만 잘 이해하고 계신다면 여기서 5~7점은 가져갈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순서도 이해 먼저 하시고 C언어/자바 간단한 문제로 해석하는 연습을 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 업무프로세스 업무프로세스 또한 무조건 다 맞춘다는 생각으로 공부하셔야 합니다. 대부분 강의와 교재에 있는 것 중에 나오기 때문에 교재에 있는 단어들 모두 외우시고 가시면 10점~15점 점수 전부 가져오실 수 있습니다. 꼭 공부하세요! 4.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실기 시험중 신기술용어와 더불어 범위가 광범위한 분야입니다. 하지만 신기술과 달리 중요한 것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시험으로 나올 만한 것이 대부분 예상이 되서 교재위주로 열심히 공부하시면 점무 많이 가져오실 수 있으실거에요! 20~25점 정도 였던 것 같습니다. 5. 전산영어/신기술용어 어떻게 보면 제일 어렵습니다. 전산영어의 경우 내가 단어를 아무리 많이 외워도 영어해석을 잘 못하면 아는 단어도 틀리게 되고, 신기술용어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교재에 있는 단어 모두 외우고 가셔도 모르는 단어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두개 합쳐서 점수비중이 30점정도로 높으편이지만 저는 이중에서 절반정도(15점)만 가져온다고 생각하고 공부했습니다. 6. 공부순서 알고리즘/순서도 - 데이터베이스 - 업무프로세스 - 전산영어/신기술용어 - C언어/자바 열심히하면 점수 모두 따올 수 있는 분야를 먼저 공부하고 나머지 시간에 단어 외우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솔직히 이번에 단어 외우기는 정말 안했는데 운이 좋아서 많이 맞출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시험 공부도 중요하지만 시험 난이도라던지 어느정도 운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아 그리고 단어는 기사퍼스트에서 제공하는 퀴즐렛 프로그램 많이 이용하시면 좋습니다! 낱말퀴즈 무한반복으로 5일만에 단어 500개를 외울 수 있었습니다!! 꼭꼭 강추드립니다. 너무 두서없는 글이었네요.. 기사 준비하시는 비전공자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합격할 수 있게 좋은 강의해주신 강사님께 감사인사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