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회 정보처리 산업기사 실기까지 최종 합격했습니다. 오늘 큐넷에서 최종적으로 합격 확인하고 이제야 글을 올립니다. 4월 초에 필기부터 시작해서 7월 말에 실기 시험까지 짧으면서도 긴 시간을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비전공자인 저를 합격하게 해주신 선생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가채점 한 결과와 똑같이 86점으로 85점 이상으로 넉넉한 점수로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실기도 몇문제 제외하고는 산업기사에서 출제되었던 문제가 그대로 출제되어서 넉넉한 점수로 합격 할 수 있었습니다. 필기와 실기를 공부하면서 단기간에 많은 내용을 소화하려고 무리하다가 몸이 많이 상한 것도 있었는데,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달려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공부 방법은 우선 기본적으로 모든 강의를 다 완강하고, 산업기사는 신기술 용어나 업무프로세스 용어 암기가 정말 중요하다고 하셔서 저는 처음부터 데이터 베이스, 업무프로세스, 신기술 용어 암기집과 퀴즐렛을 통해서 실기 강의 첫날부터 조금씩 조금씩 암기했습니다.
기사와 산업기사가 둘 다 있는데, 저는 우선 산업기사에서 출제된 용어 위주로 모두 암기하고, 남은 시간에는 기사에서 출제된 용어까지 암기해서 신기술과 업무프로세스, 데이터 베이스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알고리즘은 산업기사에서 나온 문제는 모두 괄호안에 채울 수 있을 수준으로 완벽하게 공부했고, 이해가 잘 안되는 문제는 괄호에 답을 넣고 디버깅을 반복하면서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C언어와 자바 파트도 교재에 나온 문제는 모두 풀 수 있도록 노력해서 시험장에서 자바 문제가 책과 비슷한 내용으로 나와서 쉽게 맞출 수 있었습니다.
전산영어는 버릴까도 생각했지만, 산업기사에서 출제된 용어와 키워드 만이라도 암기하자는 마음으로 키워드와 단어를 손으로 직접 적을 수 있을 정도로 암기했더니 5문제 중에서 4문제를 맞출 수 있었습니다. (10점 배점이라도 버리지 말고 산업기사에서 나온 단어라도 암기하시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글을 중구난방으로 썼는데, 정리하면
알고리즘 : 강의를 완강하고 모든 문제의 답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연습합니다. (모르는 문제는 답을 넣고 이해가 될 때까지 열심히 디버깅 하시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업무프로세스, 신기술 용어, 전산 영어 : 암기과목이므로 단어장 퀴즐렛 등을 활용해서 교재와 단어장에 나온 단어를 최대한 암기하시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는 SQL을 손으로 직접 적을 수 있도록 연습하셔야 합니다. (힘드시면 괄호가 나왔을 때 괄호안에 SQL 문을 적는 연습부터 하시고 익숙해 지시면 전체를 적을 수 있는 연습을 하시면 됩니다. SQL 작성문제도 잘 출제되기에 연습하셔야 합니다.)
컴퓨터에 문외한이고 비전공자라도 강의를 열심히 따라가고 많은 연습을 하신다면 저처럼 합격하실수 있습니다.
기사퍼스트 회원님들도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 바랍니다. ^^
그리고 2020년 부터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문제 배점이 영역마다 일정하지 않고 들쭉날쭉 한 것 같습니다. 제가 본 2회 시험에서는 알고리즘과 신기술 용어 배점이 크게 올랐고, (알고리즘 33점, 신기술 용어 30점) 데이터 베이스와 업무프로세스는 배점이 줄었는데 (데이터 베이스가 원래는 25점 배점으로 알고 있었는데 15점으로 떨어졌고, 업무프로세스도 12점으로 많이 줄었더군요... 전산 영어는 10점 배점 그대로) 이번 시험만 그런건지 모르겠는데 이 점 참고하셔서 모든 영역을 골고루 공부하셔야 무난하게 합격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